카테고리 없음

경영학 : 경영전략

SciomageLAB 2024. 10. 3. 16:44
반응형

회사가 이익을 현명하게 내려면 알맞은 사업 아이템을 기획하고, 계획을 세우고, 조직을 구성해야 한다. 이때 상황에 맞는 전략이 필요한데 이것을 세우는 단계나 방법, 체크할 요인들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내가 저그일 때 테란을 상대로 어떻게 이길것인지, 상대방의 전략 흐름은 어떤지, 메카닉수가 많은지 공중기가 많은지 등등!

전체적인 단계

## 내부환경과 외부환경 분석

내부환경은 기업 내부가 갖고 있는 경영자원 핵심역량이 무엇인지로 나눠볼 수 있다. 외부 환경은 거시 > 산업 > 경쟁 환경으로 세분화 할 수 있다. 외부환경 분석은 경쟁자들 사이에서 우위에 서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을 파악하고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진행한다. 경쟁우위를 차지하는 전략으로 경역학의 아버지 포터 교수가 제시한 세가지는 차별화, 원가우위, 집중화가 있다.

차별화: 혁신적 기술을 적용하거나 기존의 상품 라인이나 특성을 믹스하거나 모로가든 경쟁 제품이 갖지 못한 장점을 갖게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원가우위: 생산 효율을 올리거나 고객과 상호작용을 줄이거나, 자동화 설비를 갖춰서 비용 절감을 통해 원가를 낮추는 것을 의미한다.

집중화 : 특정 시장/그룹을 집중 공략하여 완전만족 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환경 분석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쓰이는 도구들의 예로 SWOT과 5 force analysis가 있다.

SWOT 분석

이 단계에서 사용되는 분석도구들 중에는 SWOT 분석이라는 것이 있다. 각 글자는 Strengths(강점), Weaknesses(약점), Opportunities(기회), Threats(위협)를 의미한다.

강점 약점
기회 기회를 이용하여 강점을 사용 약점에서 기회 발견
위협 위협을 강점으로 극복 위협 회피, 약점 최소화

포터의 산업구조 분석 (5 force analysis)

5가지 요인으로 산업의 구조를 분석해서 5 force analysis다. SWOT의 위협에 해당하는 부분을 부석하거나 외부환경 분석에 산업 환경 분석에서 경쟁을 높이는 요소를 분석할 때 사용한다.


예시 : 국내 노트북 회사

경쟁자들 : 한성, 삼성, LG, DELL, ASUS, Lenovo, Acer, MSI, GIGABYTE, Apple, Microsoft

대체재 : 이제 노트북 없이 태블릿으로도 충분히 문서 작업이 가능하니 노트북을 대체하자! ㅠㅠ => 태블릿만 만드는 업체나 노트북도 만들고 태블릿도 만드는 삼성과 LG같은 업체에게 대체 당할 위협이 있음.

잠재적 경쟁자 : Microsoft가 노트북 안 만들다 서피스 프로를 만들면서 PC도 만드는 회사가 됨.

구매자 : 구글이 구매자였다가 직접 크롬북을 생산하거나(후방통합 당함). 또는 구매자들이 중국에서 더 싸고 좋은 (원가우위) 것을 발견해서 갈아타거나 Apple처럼 인지도가 널리 알려진 회사로 갈아타면 구매자의 교섭력(영향력)이 세져서 경쟁 강도가 올라감.

공급자 : 부품 가격을 올리거나, 우리 회사가 주요 고객이 아니라서 공급에 불이익을 받거나, 공급자 수가 적고 부품 대체를 하기 어려운 경우, 생산되는 물량이 많지 않은 경우, 공급자가 인수합병이나 직접 완제품 생산에 참여해(전방통합 당해서) 새로운 경쟁자가 되는 경우 공급자의 교섭력(영향력)이 세져서 경쟁 강도가 올라감

목표설정(포지셔닝)

2, 3차원에 경쟁 제품들 사이에서 자사 제품이 누울 자리를 잡는 것.

Multi-Dimensional포지셔닝 예시 - 크게 Price, Gentle, Good For Children, Long Lasting, Effectiveness, Hard to Swallow 5가지 축으로
제품을 나눠놨다.
WIKIPEDIA : Positioning (marketing) 문서 출처# 전략수립

  • 전략의 수준
    • 전사적 : 신사업 개발, 인수합병, 사업부 분할/매각 등
    • 사업적 : 상품 라인 확장, 믹스, 신기술 도입 여부 등
    • 조직적 : 연국/개발 효율 늘리기, 우수한 인재선발하기 등
  • 전략의 종류
    • 성장
      • 집중화 : 같은 사업 내 확장
      • 다각화 : 새로운 사업영역 진출
      • 통합화 : 생산~유통 경로를 통합
    • 축소
      • 리스트럭처링 : 조직 규모나 사업 개편
      • 다운사이징 : 영업 양도, spin off(분사)
      • 현상유지
    • 경쟁력 강화
      • 전략적 제휴 : 기술/유통/공급 제휴 등

spin-off (분사)

잘나가는 사업부를 뗄 때

많은 인원이 우르르 떽떽 모여있으면 의사결정속도도 느리고 움직임도 둔하다. 그래서 사업부를 떼서 독립시키면 모기업의 부서로 있을 때보다 더 빠르게 성장한다는 장점이 있다.

성장이 부진한 사업부를 뗄 때

모회사를 갉아먹던 원인을 제거함으로써 모회사의 평판을 되찾을 수 있고 리스크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참고 문헌

Salesforce - SWOT 분석이란? 분석 방법과 주의점

담덕의 경영학 노트 티스토리 블로그 - 기업의 외부환경 분석, 포터의 산업구조 분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