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 : 기업과 조직의 유형
조직
경영이란 조직이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하는 활동이다.
조직의 특성
- 공동의 목표를 달성한다
- 위계구조와 규칙이 존재한다
- 분업을 통해 협력한다
조직의 유형
조직유형# 기업
특성
영리추구를 목표로 하기 때문에 이윤극대화(Profit maximization)를 추구한다.
이윤
이윤 = 수입-비용 =재화 가격×생산량-비용
Π은 이윤을 의미한다.
L는 노동, K는 자본는 자본을 의미한다. F는 생산요소인 L과 K를 투입했을 때 생성되는 생산량인 생성함수를 의미한다.
w ,r는 노동과 자본 각각의 생산 요소로 쓰이는 단위 당 요소 가격, p는 생산량에 따른 가격을 의미한다.
생산요소
물자
- 천연자원 : 자연 상태로 투입되는 자원
- 인공자원
- 부품
- 반제품 : 그 자체로 저장 및 판매가 가능한 제품을 의미한다. TV 액정의 경우 TV의 부품으로도 쓰이지만 그 자체로도 타 TV회사에 부품으로 판매할 수 있기 때문에 반제품이기도 하다.
- 재공품 : 중간 단계의 제품을 의미한다. 만드는 중인 제품이다. 예를 들어 TV 부품을 모두 만든 조립만 안한 경우 TV를 만들기 위한 자본이 투입되었지만 완성일이 늦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완전한 값어치를 하지 못한다. 그래서 투입된 자본만큼만 값어치를 매겨 기록하기 위해 따로 분류한다.
자본
인력
정보기술
유형
기업의 유형은 크게 6가지가 있다. 이 중 공동회사는 다시 4가지의 하위 종류가 존재한다.### 공동 회사
- 합명회사 : 모든 참가자가 경영과 이익에 대해 무한책임을 지기 때문에 소수 인원의 인적신용을 기반으로 설립한다.
- 합자회사 : 무한책임 출자자와 출자 한도내에서 책임을 지는 유한 책임 출자자로 구성된다. 경영은 무한 책임 출자자가 하고 유한책임 출자자는 이익 분뱁에만 관여한다. 보통 유한책임 출자자는 투자자이다.
- 유한책임회사 : 출자자가 직접 경영에 참여할 수 있고 감사 선임의 의무가 없다. 보통 해외법인이 절세를 위해 이 형태로 내는 경우가 많다. Google LLC처럼. 주식회사는 지분에 의해 지배구조가 생성되지만 유한책임회사는 출자액이 달라도 동등한 의결권이 있어 내부는 조합의 형태와 가깝다. 출자자들 중 이사를 선임하고 업무 대표자를 선정하여 경영을 진행한다.
- 유한회사 : 모든 사원들의 책임이 유한하다. 유한책임회사와는 다르게 출자액에 따라 출자좌가 다르기 때문에 동등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다. 유한책임회사는 모든 사원이 의결권을 가지기 때문에 경영 과 소유가 동일하고 유한회사는 출자액에 따라 경영과 소유가 분리되어 있는 구조다. 유한회사는 지분의 양도를 위해 사원총회의 승인이 있어야 하므로 지분의 증권화가 쉽지 않다. 또한 유한책임회사와 마찬가지로 감사 선임의 의무가 없다.
- 주식회사 : 출자자와 별개로 독립적인 법적 지위를 갖는다. 따라서 계약과 소송의 주체가 되고 부동산을 소유할 수 있으며 과세의 대상이 된다. 독립적인 인격체이기 때문에 주식회사의 출자자는 회사 부채에 개인적 책임이 없고 주식의 소유에 비례하여 이익의 분배를 청구하며 이사 선출 투표에 참여할 수 있다.
협동 조합
조합원들은 연회비를 내고 조합원들의 공동의 상호 부조를 목적으로 활동한다. 영리가 아니라 상호 부조 이기 때문에 이에 따라 생기는 이익을 공유하고 이익을 개인자산으로 간주하지 않기 때문에 납세의 의무가 없다.
공기업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출자하여 직간접적으로 경영을 하는 회사로 도로, 철도, 택지개발 등 공공의 이익과 관계되거나 민간이 참여하기 어려운 사업을 수행한다.
프로젝트 조직
기능 조직
기능 모듈 단위로 분리된 조직이다.
기능에 의한 분화전문성을 강조하는 형태로 대기업에 적합하다. 하나의 프로젝트에 대해서 여러 부서와 부서장들끼리 커뮤니케이션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의사결정이 느리다. 개인의 전문성을 키워주기 좋은 구조이다.
매트릭스 조직
Matrix structure organization복잡하고 다양한 환경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만들어진 조직이다. 프로젝트 조직과 유사하지만 차이가 있다면 매트릭스 조직은 상사가 두명이다. 원래 속에 있는 조직과 자신이 속한 프로젝트 조직의 리더에게 보고를 하기 때문에 프로젝트 매니저와 부서장의 권한 모두가 파트타임이 된다. 중복 설비를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두명의 리더가 권한을 공유하기 때문에 커뮤니케이션의 혼선이 생길 수 있으며 몰입도가 낮다.
프로젝트 조직
매트릭스 조직과 조직도가 유사하지만 다른 점은 프로젝트가 끝나면 해산하는 조직이라는 것이다. 제품 자체를 기준으로 움직일 때 프로젝트 조직을 운영한다. 보통 <XXXX 제품명> 사업부가 이러한 형태로 구성되어있다. PM의 권한이 강하고 한명의 매니저가 조율하기 때문에 목표 달성을 잘하는 장점이 있으나 프로젝트마다 중복된 설비를 갖추기 쉽상이다. (A 프로젝트 팀이 쓰던 컴퓨터나 기타 장비나 기기들이 새롭게 구성된 B프로젝트 팀이 공유할 수 없으므로)
첨언: 애자일 조직이 프로젝트 조직과 비슷하다. 듣기에는 아주 이상적이어 보이지만 도입 성공 사례가 많지는 않은 것 같다.
가상 조직(=네트워크 조직)
핵심적인 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것들을 모두 아웃소싱하여 해결하는 조직이다. 제품은 아웃소싱 업체에 맡기고 영업 및 판매하는 회사들이 이에 해당한다. 운영하는데 비용은 절감되지만 외부 의존성이 높고 통제가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