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매니아
AWS lightsail 버스트 본문
반응형
lightsail
- lightsail(라이트세일)은 AWS 서비스중 하나이다.
- ec2와 비슷한 하위호환 개념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 인스턴스를 만들 때 WordPress같은 App을 선택해서 쉽게 설치 할 수 있다.
- cpanel과 비슷하다.
- 이용 가격이 무척 싸고 간단하다.
- ec2의 기능을 다 사용하지 않는 유저라면 lightsail을 써도 충분하다
버스트
배경
- lightsail를 이용해서 이것저것 cpu 자원을 많이 쓰다 보면 엄청 느려지는 경우가 있다.
- 시스템 운영을 못했거나 뭔가 모를 백그라운드 서비스 탓인 줄 알았는데 아니다.
- lightsail의 버스트 기능 때문이다.
버스트
- 버스트는 필요에 따라 추가 CPU 성능을 일시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이다.
- 웹서버나 서버 운영을 하면 일시적으로 CPU를 많이 쓸 때가 있다.
- 이럴 때 마다 스케일링을 하거나 복잡한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도록 만든 것이다.
- AWS 문서에 따르면 시간당 4.17%의 버스트 용량을 자동으로 채운다.
- 위 그래프는 내 서버의 버스트 용량이다. 서버 생성 이후 20%부터 서서히 증가 한다.
- 100%가 되면 증가를 멈춘다.
- 위 그래프는 내 다른 서버의 CPU 사용률과 버스트 용량 그래프이다.
- 9월 27일) CPU 사용량이 많으면 버스트 용량을 써서(?) 원래 이상의 CPU 자원을 쓴다.
- 9월 28일) 버스트 용량을 다 쓰면 버스트가 끝나고 원래 성능대로 돌아온다
- 9월 28일) CPU를 안쓰고 있으면 버스트 용량이 다시 찬다.
결론
- lightsail은 버스트 기능을 지원한다.
- 이걸 잘 쓰면 CPU를 많이 쓰는 피크 타임을 꽁짜로 잘 버틸 수 있다.
- 버스트 용량을 쓰는 동안에는 원래 성능 이상을 끌어다 쓰는거니까 착각하면 안된다.
반응형